카테고리 없음

경복궁한의원 분리정제봉약침의 초음파 유도하 시술과 한의 복합치료를 병행한 늑골 골절 치료

JDHan 2023. 3. 23. 09:50

안녕하세요.

서울 종로 경복궁 진단한의원입니다.

오늘은 한방치료로 늑골 골절을 치료한 보고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흉부방사선 촬영 검사에서 발견하지 못한 늑골 골절을 초음파 검사로 확인한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유도하에 분리정제봉약침(essential bee venom, EBV)을 시술하고, 한의 복합 치료를 병행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은 치료 사례 보고서입니다.

서론

늑골 골절은 전체 흉부 손상에서 35~40%를 차지하는 흔한 질환으로 대부분 직접적인 흉부 외상 때문에 발생합니다.

늑골 골절은 임상적으로 심호흡, 기침, 돌아눕기 등 몸통을 움직일 때 흉통이 나타나고 골절 부위를 압진하면 심한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데요. 단 한 개의 늑골 골절만으로도 심한 통증과 호흡 장애를 유발하며 결과적으로 폐렴이나 무기폐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늑골 골절 및 합병증의 진단은 흉부방사선촬영 검사가 가장 효과적인 초기 검사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 상태나 골절 부위에 따라서 50~80%에서 골절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보고가 있는데요.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초음파 검사, 전산화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촬영 등을 시행하게 됩니다. 그중 초음파 검사는 늑골 골절의 진단에 민감도가 높아 편리하면서도 신뢰할 만한 검사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경복궁 한의원

늑골 골절로 인한 급성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경구 진통제가 흔히 활용되는데 

경구 진통제의 보완 대체 요법으로 침 치료를 활용하여 즉각적인 진통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환자 진단

오늘 경복궁 진단한의원에서 소개하는 보고서의 환자분은 좌측 옆구리의 통증으로 정형외과의원에 방문하였으나 단순 방사선검사에서 골절을 발견하지 못하고 진통제를 처방받았습니다.

그러나 호전이 없어 다른 정형외과에서 늑간신경차단술을 받았으나 여전한 통증으로 내원하였습니다.

이후 초음파 검사를 통해 흉곽 외측의 제6번 늑골 피질에서 불연속성이 관찰되었습니다. 즉시 2차 의료기관에 의뢰하여 시행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에서 제6번 늑골의 body fracture를 확인하였습니다.(Fig 1)

치료 방법

1) 초음파 유도하 약 침술 

봉독의 성분 중 알레르기 항원으로 알려져 있는 물질을 원칙적으로 제거하고 봉독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 알려진 Melittin은 보존한 분리정제봉약침(EBV)를 사용하여 

통증이 나타나는 혈위인 아시혈(阿是穴)을 확인하였고, 초음파 유도 하에 골절 부위의 골막 주의에 EBV를 주입하였습니다.(Fig 2)

2) 침 치료

- 원위 취헐 : 양측 중저(中渚, TE3), 외관(外關, TE5), 풍 시(風市, GB31), 양릉천(陽陵泉, GB34), 족임읍(足臨泣, GB41)을 취혈하여 15분간 유침하였습니다.

- 근위 취혈 : 환부를 향하여 총 4개의 호침을 횡사자 하였습니다.

3) 전기침 치료

전기침 자극기를 이용하여 아시혈1-아시혈2, 아시혈3-아시혈4, 중저-외관, 족임읍-양릉천에 시행하였습니다.

4) 부항 치료

골절 부위를 피하여 대흉근, 광배근, 외복사근에 습식 부항을 시행하였습니다.

5) 한방물리요법

경근 중주파요법, 경피 적외선 조사 요법, 경피 경근 온열요법을 시행하였습니다.

6) 첩대 요법

- 늑간근과 외복사근의 방향에 따라 탄력 테이프를 부착하였습니다.(Fig 4)

치료 기간 및 경과

총 치료 기간은 4주로 1주에서 3주 차는 주 5회, 4주 차는 주 3회 치료를 받았습니다.

치료 평가는 환자가 자신의 통증 정도를 0(통증 없음)부터 10(상상할 수 있는 가장 심한 통증)까지의 정수 중에 표현하였는데

초진 시 8이었던 점수가 28일 후 2점으로 감소한 것을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Fig 5)

주목할 만한 점은 약침 시술 이후 즉각적인 통증 완화가 있었으며

3시간 가량 효과가 지속되었다고 환자 스스로 표현한 것입니다.

또한 수상일로부터 약 8주 후 가골이 형성된 것을 초음파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Fig 6)

고찰

봉독의 주요 성분인 멜리틴(mellitin)은 염증 세포 내에서 염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어 초음파를 활용하여 병변 부위에 정확하게 봉약침을 주입한다면 소염 진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오늘 경복궁 진단한의원에서 소개한 보고서에서 

4주간 총 18회의 초음파 유도하 약침술 및 한의 복합치료를 시행한 결과 몸통을 회전할 때 나타나는 통증이 NRS 8에서 2로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약침 시술 이후 즉각적인 통증 완화가 있었으며 

3시간 가량 진통 효과가 지속되었다는 것인데요.

이를 통해 병변 부위에 정확하게 한의 치료를 병행한다면 유의미한 진통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상으로 '경복궁한의원 분리정제봉약침의 초음파 유도하 시술과 한의 복합치료를 병행한 늑골 골절 치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